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예산군청
충남문화의 해

통합검색
인기 검색어

지명유래

고도리(古道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다가 이조말엽엔 덕산군 외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年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에 고도촌과 고현내면의 군대리 일부를 합한 후 고도촌의 이름을 따서 고도리라 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쇳대배기

고도실 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쇳대배기라고 부른다. 옛날엔 마을에 솟대를 세웠다하여 솟대배기라고 부르다가 변해서 ′쇳대배′ 라고 부른다. 구전에 따르면 신석기시대부터 노목에 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있어서 그때부터 전해내려오다가 이조때에 이르러서도 마을에 있는 팽나무에 제사를 지냈다한다. 매년 팽나무에 제사를 지내며 그해의 풍년과 행운을 빌었다 하는데 솟대가 있고 제사를 지내는 풍속으로보아 샤마니즘에 따른 신앙이 두텁던 마을이다. 上中말 고도리의 중간지점 위쪽에 자리한 마을을 上中말이라고 부른다. 면소재지부터 고도실까지 길게 느러져 있는데 그 사이를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上中말이라고 부른다.

고도실

쇳대배기 서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고도실 또는 고도촌 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구만리 구만포와 곡창지대인 서산쪽으로 통하는 큰 길이 있고 길목에 자리한 마을이여서 큰길 옆에 마을이 있으며 높은지대에 마을이 있다해서 고도실 또는 고도촌이라고 부른다.

거문배

고도실 남쪽으로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거문배 또는 거문바위라고 부른다. 바위의 빛깔이 검다해서 거문배 또는 거문바위라고 부른다. 냉천 고도촌 서남쪽으로 샘이 있는데 그 샘을 냉천(冷泉)이라고 부른다. 물이 매우 차고 약수로 통하는 샘이라 냉천이라고 부른다.

망대봉

고도촌 서쪽으로 산이 있는데 이 산을 망대봉(望臺峰)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망대를 세웠던 산이라 망대봉이라고 부른다.

등백산

고도촌 북쪽으로 산이 있는데 이 산을 등백산(登白山)이라고 부른다. 산 꼭대기가 하얗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바위가 있어서 그렇게 보인다. 일명 큰 돌이 있는 산이라 하여 덕암산(德岩山)이라고도 부른다.

구암리(九岩里)

백제(百濟)때는 금물현(今勿縣)에 속했었다. 신라(新羅)때는 이산군 (伊山郡)에 속했으며 고려(高麗)때는 덕풍현(德豊縣)에 속했었다. 이조(李朝)때는 초엽(初葉)에 덕산현(德山縣)에 속했다가 이조말엽(李朝末葉)엔 덕산군 내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年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에 식암리, 구산리와 고현내면의 군대리 일부를 합한 후 구산리와 식암리의 두마을에서 한자씩 취하여 구암리라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심통골

구암리의 남쪽으로 골짜기가 있는데 이 골짜기를 심통골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가뭄이 심해서 논에 벼심기를 못하고 있을 때 임금님이 한발을 시찰하기 위해 이곳을 지나게 되었는데 유독히도 이 골짜기엔 벼를 푸릇하게 심고 있어서 어찌 여기만 벼를 심었느냐고 물은즉 수캐샘과 암캐샘에서 항시 물이 이 골짜기에 흐르고 있어서 모를 심었다고 대답한즉 참 신통한 골짜기라고 말한것이 그만 신통골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변해서 심통골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식암리()

거북미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식암리 라고 부른다. 이조말엽 대원군이 친산 참묘차 이곳에 와서 쉬었다 해서 숨을 돌린 바위가 있다 하여 식암리라고 부른다.

거북미

구암리에 거북미라는 산이 있다. 구산 또는 거북미라고 부르는 산으로서 모양이 거북이 같다 해서 거북미라고 부른다. 산 아래에 있는 마을도 거북미라고 부른다. 구전에 따르면 옛날 산 아래 남쪽으로 못이 있었는데 이곳에 사는 부자 한 사람이 고기를 잡기 위해서 못의 물을 빼고 못을 말렸는데 그때 못에서 거북이가 나와선 산으로 올라갔다 한다. 그 후 부자는 가산이 기울고 망했으며 그 후 비가 내리자, 큰물이 가면서 산이 깎이고 하더니 산형이 거북이처럼 생기게 되었다 한다.

어여고개

구암리에서 봉림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어여고개라고 부른다. 이 고개를 넘는 데는 긴 시간이 걸리는데 한내장을 다녀오는 사람들이 해지기 전에 이 고개를 넘기 위하여 어여하고 길을 서두른 고개라 하여 어여고개라고 불렀다 한다.

조치말뿌리

구암리에 조치말뿌리라는 모롱이가 있다. 넓은 들을 산 너머로 하고 아늑한 산을 끼고 있는 모롱이라 아침이면 꿩이 많이 날아와서 우는 모롱이라 아침에 꿩 소리를 듣는 모롱이라 해서 조치말뿌리라고 부른다.

봉림리(鳳林里)

백제 때는 금물 현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 초엽엔 덕산현에 속했다가 이조말엽엔 덕산군 내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年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 때에 서림리, 봉동, 제동, 성지동을 합한 후 봉동과 서림리의 두 마을에서 한자씩 취해서 봉림리라 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회암골

봉명골 서쪽으로 골짜기가 있는데 이 골짜기를 회암골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회암서원이 있었던 골짜기다.

제동

봉명골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제동이라고 부른다.

어여고개

봉림리에 어여고개라고 부르는 고개가 있다. 어유고개라고도 부르는데 옛날에는 이곳이 모두 바다여서 뱃사공들이 힘겨웁게 물살을 헤치던 곳이다. 어유고개, 어여고개라고 부른다 한다.

실티

봉명골 북쪽으로 작은 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를 실티라고 부른다. 슬티라고도 부르는 고개인데 고개가 작은 고개라 실티 변해서 슬티라고 부르는 고개다.

성지

봉명골 남쪽 골짜기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성지라고 부른다. 변해서 ′승지′라고도 부르는데 성지봉 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산명따라 성지 승지라고 부른다.

선무곡

봉림리에 선무곡이라고 부르는 골짜기가 있다. 설뭇골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에 선녀들이 내려와서 춤을 추며 놀다간 골짜기라 선무곡 변하여 설뭇골이라고 부른다 한다. 지형이 또한 선녀가 춤추는 형국이라고 전한다.

서골

봉명골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서림골이라고 부른다. 지금 마을이 들어서 있는 자리가 옛날에는 숲이 우거져 있었다해서 서림골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봉명골

승지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봉명골이라고 부른다. 봉동이라고도 부르는데 산의 높이가 272m의 봉명산 아래에 마을이 있다해서 봉명골 또는 봉동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남살미

봉림리에 남살미라고 부르는 산이 있다. 봉명산 아래에 자리한 산인데 옛날에 효자 이후직이 이곳에서 산삼을 구해서 어머니의 불치병을 고쳤다한다. 선산으로 부르는 산으로서 남삼산이라고도 부른다.

괴원

봉명골 가운데에 큰 느티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를 괴원이라고 부른다. 둘레가 6아름 되는 느티나무다. 이조때 난리가 나서 다급해진 부모가 이곳에 남매를 묻어 놓고 가서 돌아와 본즉 남매는 없어졌다 한다. 그 후 이곳에서 느티나무가 나기 시작해선 크게 자라고 음침한 날이면 나무가 우는 것 같은 소리를 낸다고 해서 ′괴원′ 이라고 부른다.

사석리(沙石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으며 이조말엽엔 덕산군 내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에 돌리, 사점리와 목리일부 후종리일부를 합한 후 사점리와 돌리의 두마을에서 한자씩 취해서 사석리라 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개똥무덤

이도봉 아래에 모롱이가 있는데 이 모롱이를 개똥무덤이라고 부른다. 모롱이가 동그랗게 우뚝 솟아 있어서 개똥처럼 생겼다해서 개똥무덤이라고 부르는 모롱이다.

돌리

점말 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돌리라고 부른다. 석리, 돌소지라고도 부르는 마을인데 돌이 많은 마을이라 돌리, 석리, 돌소지라고 부른다.

대숲골

사석리 중앙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대숲골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대나무가 많이 있었다고 해서 대숲골이라고 부른다.

구름다리논

점말 아래로 논이 있는데 이 논을 구름다리논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구름다리를 놓고 다닌 논이라 구름다리논이라고 부른다.

개바위

인두봉 남쪽으로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개바위라고 부른다. 바위 모양이 개처럼 생겨서 개바위라고 부르는 바위다.

뒷마루

들소지 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뒷마루 또는 후종이라고 부른다. 마을 서북쪽으로 보가 있고 해서 은반을 까는 듯 깨끗한 뒷동네라고 한다. 또한 사점과 후종을 통틀어 말할 때는 이라고 부른다.

석숫골

대숲골 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석숫골이라고 부른다. 마을에 돌이 많아서 석수골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소란

뒷마루 앞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소란이라고 부른다. 마을에 소가 있어서 옛날에는 깨끗한 마을로 정평이 있었던 마을이다.

여단터

뒷마루 북쪽으로 옛날의 여단터가 있다. 이조때 덕산현의 현감이 매년 제사를 지내던 여단이 있었던 자리다.

점말

돌소지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점말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사기그릇을 파는 그릇점이 있었다해서 점말이라고 부른다.

한잿벌

대숲골 앞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한잿벌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어지간한 해에도 가뭄을 많이 타는 마을이라 한잿벌이라고 부른다.

운암사지

예산군 봉산면 사석리에 운암사지(雲庵寺址)가 있다. 운암곡에 있는 사지로서 와편이 산재되어 있고 부근에 약수가 지금도 흐르고 있다. 약수터 근처에 있었던 사지다.

하평리(下坪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다가 이조말엽엔 덕산군 내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年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에 하안리, 평리일부, 목리일부, 후종리일부를 합한 후 하안리와 평리 두마을에서 한자씩 취하여 하평리라 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귀변뜸

평리 서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귀변뜸이라고 부른다. 강물이 흐르는데 그 물굽이 안쪽으로 자리한 마을로서 귀변뜸 또는 귀비안이라고 부른다.

목리(沐里)

평리 서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목리라고 부른다. 하평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서 목내라고도 부르는데 이조말엽 홍주성 싸움때 많은 장정들이 의병이 되어 홍주성에서 크게 싸운 그 의거지이기도한 마을이다. 옛날부터 곧은 절의를 부르짖는 선비들이 많이 은거하던 마을이다.

평리(坪里)

목리 동북쪽 벌판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평리라고 부른다. 벌판에 마을이 생겼다해서 옛날부터 평리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하나말

목리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 하나말′ 이라고 부른다. 또한 ′한임말′ 이라고도 부르는데 글을 읽는 사람이 소시랑 괭이를 들고 선비가 농부가 되니 마음은 태평세월 이라는 농부가와 함께 이조때의 선비의 서글픔을 잘 나타내는 마을로서 마음을 가다듬는 마을이라 선지로 생각하던 마을이기도하다.

옥전리(玉田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다가 이조말엽엔 덕산군 내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 옥전리, 상안리, 중안리, 천동과,화은리 일부를 합한 후 옥전리라 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표수아미

갯골에 표수아미라는 논이 있다. 이조말엽 대원군의 위답으로 삼았던 논이라 한다.

조산논

샘골 가운데에 논이 있는데 이 논을 조산논이라고 부른다.

잿말

원윤밭골 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잿말이라고 부른다. 마을이 고개아래에 자리해 있다해서 잿말이라고 부른다.

안골

중안 안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안골이라고 부른다. 마을이 마을 안쪽으로 자리해 있었다해서 안골이라고 부른다.

쉬여나뭇들

옥밭골 남쪽으로 들이 있는데 이 들을 쉬여나뭇들이라고 부른다. 들에 쉬여나무가 있었다해서 쉬여나뭇들이라고 부른다.

옻밭골

쉬여나뭇들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옻밭골 또는 옥밭골 옥전 의식동 이라고 부른다. 마을에 옻나무밭이 있었다해서 옻밭골 변해서 옥밭골 또는 옥전 의식동 이라고 부른다.

당굴

자지봉 아래로 골짜기가 있는데 이 골짜기를 당굴이라고 부른다. 옛날엔 골짜기에 신당이 있었다해서 당굴이라고 부르는 골짜기가 있다.

바위배기내

옥전리에 바위배기내 라는 냇물이 흐른다. 냇가에 바위가 많이박혀 있다해서 바위배기내라고 부른다.

샘골

옥전리에 샘골이라고 부르는 마을이 있다. 마을에 좋은 샘이 있어서 그 샘물을 약수로도 부르는데 좋은 샘이 있는 마을이라 샘골 또는 새양골 천동이라고 부른다.

중안

옻밭골 중앙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중안 또는 중옻밭골이라고 부르고 옻밭골의 원마을은 윗옻밭골 또는 상안이라고 부른다. 또한 옻밭골 아래쪽에 자리한 마을은 하안 아래옻밭골이라고 부른다.

당곡리(唐谷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으며 이조말엽엔 덕산군 내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 당곡리와 시동일부, 화은리의 일부를 합한 후 당곡리라 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지루지

당골 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지루시라고 부른다. 옛날에 마을에서 질그릇을 구웠다해서 지루시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정문골

밧대실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정문골이라고 부른다. 마을에 야곡 조극선의 정문이 있으므로 정문골이라고 부른다.

점촌

지루지에 딸린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점촌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마을에 옹기점이 있었다해서 점촌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용의논

밧대실 남쪽으로 논이 있는데 이 논을 용의논이라고 부른다. 이 논에서 옛날에 용이 승천하였다해서 이 논을 용의논이라고 부른다.

사절미

밧대실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사절미라고 부른다. 옛날에 마을에 절이 있어서 절터였던곳에 마을이 생겼다해서 사절미라고 부른다.

문밑모랭이

밧대실 남쪽으로 모롱이가 있는데 이 모롱이를 문밑모랭이라고 부른다. 모롱이가 문같이 생겼다해서 문밑모랭이라고 부른다.

대실

당골 서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대실이라고 부른다. 마을에 옛날에는 대나무가 많이 있었다해서 대실이라고 부르며 또한 대실 바깥쪽으로 자리한 마을은 밧대실이라고 부르는데 대실ㆍ마을 바깥쪽으로 마을이 있다해서 그리 부른다.

당골

지루지 서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당곡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마을에 신당이 있었다해서 당골 또는 당곡이라고 부른다.

고삭쟁이 모롱이

밧대실 남쪽으로 모롱이가 있는데 이 모롱이가 고삭쟁이모롱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이 부근에서 설치던 큰 도적이 있었는데 이름이 고삭진이라 불렀었다. 그가 행패를 부리며 양민을 괴롭히자 역시 기운이 장사이며 이곳에 사는 장사 정현용이란 사람이 도적 고삭진을 때려죽인 모롱이라 고삭쟁이모롱이라고 부른다 한다.

시동리(侍洞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다가 이조말엽엔 덕산군 내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 때 시동 일부,시점리 일부를 합한 후 시동리라 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밭테미산

시못골 동남쪽으로 산이 있는데 이 산을 밭테미산이라고 부른다. 안테미산바깥쪽으로 산이 있다해서 밭테미산이라고 부른다.

점말

시못골 북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점말이라고 부른다. 또한 불무시 야곡이라고도 부르는 마을인데 질그릇을 굽는 마을이다.

시못골

불무시 서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시못골이라고 부른다. 옛날 천하의 효자 조극선이 12살 때 어머니 상을 당하여 시묘를 살으므로 그 효성이 지극하여 세상에 둘도없는 효자를 높이 위했었는데 효자가 난 마을이라 시못골이라고 부른다. 시못골 안쪽으로 자리한 마을은 안시못골 시못골 위쪽으로 자리한 마을은 위시못골이라고 부른다.

안테미산

시못골 서쪽으로 산이 있는데 이 산을 안테미산이라고 부른다. 동남쪽으로 발테미산이 있다.

시못골고랑

시못골 위로 골짜기가 있는데 이 골짜기를 시못골이라고 부른다. 야곡 조극선이 시묘를 살았던 고랑이다.

효교리(孝橋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으며 이조말엽엔 덕산군 내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年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에 효교리,두암리와 시동일부, 평리일부와 고현내면의 대야동일부 그리고 도용면의 풍경리 일부,도용면의 일리일부를 합한 후 효교리라 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새 탯 말

효다리 북서쪽으로 새로 생긴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새탯말이라고 부른다. 산등성이에 마을이 있으며 빨간 왕모래의 토질이라 비가 오면 가끔 사태가 난다해서 사태말이라 부르다가 변하여 ′새탯말′이라고 부른다.

두암

효다리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두암(斗岩)이라고 부른다. 마을에 말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해서 두암 또는 마대라고 부르는데 옛날에는 바위에 마을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말과 되를 만들어놓고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한다.

득두거리고개

효교리에 득두거리고개라는 고개가 있다. 옛날에 노름꾼들이 이곳에서 모여서 노름을 하면서 돈내기를 하였는데 이곳 노름꾼들이 돈을 갈퀴로 낙엽을 모으듯 득득 긁어모은다해서 득득거리고개라고 부르다가 변해서 득두거리고개라고 부른다.

풍경리(風景里)

윗말 아래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풍경리(風景里)라고 부른다. 효교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서 옛날부터 부자가 많이 살아서 집집마다 풍경소리가 성황했다한다. 그래서 풍경리라고 부르는데 고쳐부르는 마을이름이다.

효교(孝橋)

새탯말 동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효교라고 부른다. 이조 인조때의 효자 조극선이 시묘하러 건너다녔다는 다리가 있는 마을이라 효교 또는 효다리 소다리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윗말과 아랫말

풍경리 위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은 위쪽에 자리해 있으므로 윗말이라 부르고 풍경리 아래쪽으로 자리한 마을은 아랫말이라고 부른다.

샘배미

효다리 북동쪽으로 펼쳐진 들을 갱잇들이라고 부르고 갱잇들에는 샘배미라고 부르는 논이 있다. 논에 샘이 있어서 아무리 가물어도 논이 마르지 않는다 하여 샘배미라고 부른다.

밤나무숲쟁이

풍경리 옆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밤나무숲쟁이라고 부른다. 8.15해방전에 이곳은 덕산농장으로 밤나무가 많이 있었다해서 밤나무숲쟁이라고 부른다.

느랫들

효다리 북쪽으로 들이 있는데 이 들을 느랫들이라고 부른다. 토질이 건하여 농사를 지어도 늘 헛수고만 하였다하여 느랫들이라고 부른다.

남파랭이

효교리에 남파랭이라는 마을이 있다. 남씨가 모여서 많이 살았던 마을로 농사가 잘되는 마을이였다한다. 남씨들이 사는 마을이라 남파랭이라고 부른다.

냉천(冷泉)

효다리 북동쪽으로 샘이 있는데 이 샘을 냉천이라고 부른다. 물이차고 이 우물은 약수로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와서 물을 마시고 목욕을 하며 병을 고쳤다한다. 또한, 냉천이 있는 골짜기를 냉정골이라고 부른다.

방죽골

효다리 북쪽으로 골짜기가 있는데 이 골짜기를 방죽골이라고 부른다. 골짜기 부근에 방죽이 있었다해서 방죽골이라고 부른다.

보사리

효다리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보사리라고 부른다. 이조 세조때 산막부터 시작된 마을이라 하는데 세조가 임금에 오르자 충신 한사람이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와서 자리를 잡았던 것이 마을의 처음이라 한다.

대지리(大支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다가 이조말엽엔 덕산군 고현내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에 포두리, 대지동, 송정리, 화리와 군대리 일부, 대야동일부, 시점리 일부를 합한 후 대지동의 이름을 따서 대지리라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갯머리

댓골 북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갯머리라고 부른다. 포두라고도 부르는 마을로서 한내의 머리쪽으로 마을이 있다해서 갯머리라고 부른다.

군대곡

댓골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군대곡 이라고 부른다. 또한 군대실 군곡 군대 실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 북쪽에 자리한 산은 군곡산이라고 부른다.

댓골

군두실 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댓골이라고 부른다. 또한 대야골 대야동 대지동 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이 크며 장자가 자리할 마을이라 댓골 대야골 대야동 대지동이라고 부른다.

방아깐모랭이

물이 은빛처럼 빛난다해서 맑음을 자랑하는 으인보옆으로 모롱이가 있는데 여기를 방아깐모랭이라고 부른다. 모랭이에 옛날엔 방앗간이 있었다해서 방아깐모랭이라고 부른다.

송정

대지리에 송정이라고 부르는 마을이 있다. 마을에 옛날에는 큰 소나무 정자가 있 어서 마을을 한결 풍류에 접하게 하였다하여 송정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송청산

갯머리 남쪽으로 산이 있는데 이 산을 송청산 이라고 부른다. 산에서 솔이 잘 자란다해서 송청산이라고 부르는 산이다.

수률

댓골 옆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수률이라고 부른다. 화리 라고도 부르는 마을인데 옛날에는 마을에서 숯을 구웠었다한다.

정문골

대지리에 정문골이라고 부르는 마을이 있다. 마을에 신 효자의 정문이 있는데 정문이 서있는 마을이라 정문골이라고 부른다.

정자뿌리모랭이

갯머리 북쪽으로 가다보면 모롱이가 있는데 이 모롱이를 정자뿌리모랭이라고 부른다. 옛날에는 모롱이에 정자가 서있었다해서 정자뿌리모랭이라고 부른다.

한강골

대지리 가운데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한강골이라고 부른다.

화전리(花田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다가 이조말엽엔 덕산군 외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年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에 고상리, 화전리와 고현내면의 군대리 일부를 합한 후 화전리라 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권뜸

화전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권뜸이라고 부른다. 옛날부터 권씨들이 많이 사는 마을이라 권뜸이라고 부른다.

고상굴

꽃밭 서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고상골이라고 부른다. 골의 안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마을에 옛날에는 장자가 살았던 마을이다.

꽃밭들

고상골 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꽃밭들이라고 부른다. 화전이라고도 부르는 마을로서 옛날부터 꽃이 피는 꽃밭에 마을이 생겼으므로 꽃밭들 또는 화전이라고 부른다.

큰말

화전 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큰말이라고 부른다. 마을이 크다해서 큰 마을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사태말

화전 중앙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사태말이라고 부른다. 또한 화전 남쪽에 자리한 마을은 사그미라고 부른다.

궁평리(宮坪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다가 이조말엽엔 덕산군 외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에 궁리, 세영동, 평리와 신동 일부를 병합한 후 궁리와 평리 두마을에서 한자씩 취하여 궁평리라고 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궁골

벌말 서쪽으로 망을이 있는데 궁골이라고 부른다. 마을 지형이 마치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 해서 궁골 또는 궁동이라 부른다.

세영골

궁골 서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세영골이라고 부른다. 시영굴이라고도 부르는 마을인데 학의 날개에 해당되며 섬세하게 일이 잘되가는 마을이라 세영골이라고 부른다 한다.

섬배미

벌말 남쪽으로 논이 있는데 이 논을 섬배미라고 부른다. 논 가운데 섬처럼 생긴 흙더미가 있는 논이라 섬배미라고 부른다.

부엉바위

두리봉 서쪽으로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부엉바위라고 부른다. 바위내 부엉이가 살았다 해서 부엉바위라고 부르는 바위다.

벼락논

벌말 서남쪽으로 논이 있는데 이 논을 벼락논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벼락이 떨어졌던 논이라 벼락논이라고 부른다.

벌말

궁골 동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벌말이라고 부른다. 벌판에 마을이 있다해서 벌말 또는 평리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밤절논

벌말 서쪽으로 논이 있는데 이 논을 밤절논이라고 부른다. 논 부근에 밤나무가 있었다해서 밤절논이라고 부른다.

똘석논

벌말 서쪽으로 도랑뚝에 논이 있는데 여기있는 논을 똘석논이라고 부른다. 마을 지형이 마치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다. 궁골 궁동이라 부른다.

금치리(金峙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으며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 월조리, 탄리, 금치리, 중안리와 신동 일부를 합한 후 금치리라 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평나무재

금치리 중앙의 마을에 있는데 이 마을을 팽나무재라고 부른다. 마을에 옛날에는 큰 팽나무가 있어서 팽나무재라고 불렀는데 변해서 평나무재라고 부른다.

탄방

쇠재 서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탄방이라고 부른다. 탄동이라고도 부르는 마을인데 마을에서 숯을 구었다해서 탄방 또는 탄동이라고 부른다.

절굴

양짓말 동남쪽으로 골짜기가 있는데 이 골짜기를 절굴이라고 부른다. 골짜기에 보광사라는 절이 있는데 절이 있는 골짜기라 절골이라 부르다가 변해서 절굴이라고 부르는데 절골이라고도 부를때가 있다.

잔거리

버들매기 북쪽으로 마을에 있는데 이 마을을 버들매기라고 부른다. 마을에 여러갈래의 길이 나있다해서 자자한 거리가 많음으로 잔거리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음지말

금치리 음달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음지말이라고 부른다. 마을이 음달진곳에 자리해 있다해서 음지말이라고 부른다.

윷골

잔거리 바로 옆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이 윷골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산골짝 안으로 마을이 있다해서 윷골이라고 부른다.

월조산

절굴 뒤에 자리한 산을 월조산이라고 부른다. 옛날에는 달맞이하던 산이다. 보름날 달이 떠오르면 마을사람들이 산에 올라 달맞이를 한 산이라 한다. 월조산 아래에 자리한 마을은 월조라고 부른다.

연풍굴

탄방마을 너머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연풍굴이라고 부른다. 마을에서 담배를 많이 재배하는 마을이다.

양짓말

금치리 양지바른곳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양짓말이라고 부른다.

신당지

평나무재 너머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신당지라고 부른다. 고려때부터 신당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드나들며 위하던 곳에 마을이 생겼다해서 신당지라고 부른다.

금치

금치리에서 서산군 운산면 와우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금치 또는 쇠재라고 부르고 고개아래에 자리한 마을도 금치 쇠재라고 부른다. 옛날에 고개에서 쇠붙이를 캐냈다 해서 금치 쇠재라고 부른다.

산직말

잔거리 아래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산직말이라고 부른다. 마을이 새로 생겼다해서 신동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에 산직집이 있었다해서 산직말이라고도 부른다.

버들목

월조 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버들목이라고 부른다. 또한 버들매기라고도 부르는데 마을 지형이 벋은 목이 되었다해서 버들목 버들매기라고 부른다.

관보

윷골 남쪽으로 있는 보를 관보라고 부른다. 옛날에 관에서 보를 만들었다해서 관보라고 부른다.

옹안리(雍安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따.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다가 이조말엽엔 덕산군 내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에 옹안리와 대덕리를 합한 후 옹안리 라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구억지

옹안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구억지라고 부른다. 마을에 바위모양이 거북이처럼 생겼다해서 거북바위라고 부르는 바위가 있는 마을이다. 억대기라고도 부르는 마을이다.

매봉재

옹안 북쪽으로 산이 있는데 이 산을 매봉재라고 부른다. 산의 모양이 매처럼 생겼다해서 매봉재라고 부른다.

옹안고라실

옹안리에 옹안고라실이라고 부르는 골짜기가 있다. 땅이 기름져서 곡식이 잘된다하여 옹안고라실이라고 부르는 골짜기이다.

굴안굴

옹안 위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굴안굴 이라고 부른다. 또한 윗말 이라고도 부르는데 옹안 마을 위쪽에 자리해있다해서 ′윗말′이라고 부르며 마을 안쪽으로 마을이 있다해서 굴안골 이라고 부른다 한다.

옹안

구억지 남쪽으로 자리한 마을을 옹안이라고 부른다. 옛날에는 오안이라 부르기도 하였던 마을인데 마을주변에 바위가 다섯개 있어서 마을을 지키며 항시 편안하게 락을 누릴수 있는 마을이라 옹안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마교리(馬橋里)

백제때는 금물현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이산군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덕풍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초엽에 덕산현에 속했다가 이조말엽엔 덕산군 외야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폐합때에 석하리, 석교리, 항리와 마산리일부, 면천군 마산면 대곡리의 일부를 합한 후 마산리와 석교리의 두마을에서 한자씩 취하여 마교리라하고 예산군 봉산면에 편입되었다.

마항

마교리 큰 골짜기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마항이라고 부른다. 마을 지형이 말 목처럼 생겼다해서 마항이라고 부르는데 마교리에서 으뜸되는 마을로서 항골이라고도 부르는 마을이다.

내건너

석교 아래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석하라고 부른다. 내건너라고도 부르는데 내를 건너서 마을이 있다해서 내건너 석교 아래쪽에 마을이 있다해서 석하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마산

항골 남쪽으로 산이 있는데 이 산을 마산이라고 부른다. 산의 높이가 195m되는 산으로 지형이 말처럼 생겼다해서 마산이라고 부르며 산 아래에 자리하 마을도 산명따라 마산이라고 부른다.

석교

마산 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석교라고 부른다. 또한 ′돌다리′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에 돌로 놓은 다리가 있다해서 돌다리 석교라고 부른다.

갯골

마산 서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갯골이라고 부른다. 옛날에는 큰 냇물이 흐르는곳에 마을이 생겼으므로 그때부터 갯골이라고 불러왔다한다.